저자소개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방법을 가르친다. 연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국제개발교육 석사 학위를, 위스콘신 주립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 교수로 활동했었다. 가르치고 배우는 인간 행위를 문화적 과정으로 이해하기 위해 터키의 이슬람 학교 문화, 미국 청소년의 사회성, 북한 이탈 주민, 결혼 이주 여성, 난민 같은 주제로 현장 연구를 했다.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회장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이사를 맡아 세계시민교육을 확산하는 데 한몫하고 있다.
목차
PART 01 교육과 교육학의 토대CHAPTER01 교육철학과 교육사학: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과 역사의 눈 - 황금중1. 교육철학: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의 눈_4교육철학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_4‘철학의 눈’과 교육철학_52. 교육사학: 교육현상을 보는 역사의 눈_12교육사학의 개념_12‘역사의 눈’과 교육사학_133.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그리고 교육사상사_18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_18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접점으로서의 교육사상사_194. 역사 속의 교육철학의 조류들_22진보주의(Progressivism)_26본질주의(Essentialism)_29항존주의(Perennialism)_32비판이론(Critical theory)_36실존주의(Existentialism)_39자연주의(Naturalism)_43마음주의(Mindfulism)_47CHAPTER02 교육인류학: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현상에 대한 탐구 - 박순용1. 교육인류학의 특징과 기원: 인류학과 교육의 만남, 그 이상_56 19세기_60 20세기 초·중반_61 20세기 후반(1980년대~1990년대)_62 21세기 현재_632. 인류학의 문제의식과 교육현장 새로 보기_653. 문화기술지 연구의 접근방식과 활용: 왜 애쓰노그래피 (ethnography)인가 _694. 결론: 교육인류학의 과제와 미래_72CHAPTER03 교육심리학: 교육에 내재하는 인간 행동과 사고에 대한 과학적 탐구 - 이희승1. 교육심리학 이해하기_82 교육심리학이란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인가, 심리학의 응용분야인가 _82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사에게 교육심리학이란 _85 교육심리학자의 역할: 여러분도 아마추어 교육심리학자! 교육심리학자가 당신과 다른 이유 _902.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_94 기술연구(Descriptive studies)_94 상관연구(Correlational studies)_96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ies)_983. 교육심리학 연구 살펴보기 _102 기대 및 신념과 학습_103 시험과 학습_105 개인차와 학습: 학습양식 원리_1124. 결론_115CHAPTER04 교육과정: 교육과정 연구의 기원과 전개, 과제 - 홍원표1. 복합적 개념으로서의 교육과정_124 교육과정의 복합적 의미_124 교육과정의 다양한 영역_126 교육과정의 다층적 수준_1282. 교육과정 연구의 두 가지 접근_131 교육과정 개발_132 이해 패러다임의 등장과 한계_1363. 우리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_141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_141 최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_144 우리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과제_1494. 결론_153CHAPTER05 교육평가: 정보수집과 교육적 의사결정 과정 - 이규민1. 교육평가의 개념_1612.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1: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_164 규준참조방식과 준거참조방식_164 준거참조방식과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_166 북마크 기준설정 방법_1693.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2: 컴퓨터화 검사의 실용화_171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_171 컴퓨터화 검사의 상용화_1764.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3: 수행평가의 활성화_180 수행평가의 대두_180 수행평가의 유형과 특성_1825. 결론_185 PART02 교육과 교육학의 실천적 확장CHAPTER06 교육행정: 교육과 학습 지원을 위한 이론과 실천 - 이무성1. 교육행정의 개념과 연구_192 정의_192 정치·행정 이원론 vs. 정치·행정 일원론_193 교육행정과 교육정책_195 교육행정의 주요 연구 영역_198 교육정책 연구와의 관계_1992. 교육행정의 핵심 영역으로서 학교조직_202 개방적 사회체제로서 학교_202 학교조직의 변화과정에 대한 네 가지 관점_203 학교효과성 연구_209 학교효과성 연구 비판_211 학교개선 연구_213 학교효과성과 학교개선의 상보성_215 학교혁신_2173. 학교조직에서의 리더십_222 고전적 리더십 이론_222 학교(장) 리더십_224 수업 리더십_225 분산적 리더십_227 교사 리더십_228 학교장 리더십에 대한 시간 연구_2294. 맺음말_231CHAPTER07 교육공학: 교수학습에의 체제접근 - 이명근1. 교육공학의 태동_2422. 현대 교육공학의 발전_2463. 교육공학과 교수설계_253 교수학습조건 설계이론_257 교수학습조건 설계이론의 적용_2704. 4차 산업혁명 시대에의 도전과 전망_272CHAPTER08 에듀테크, 교육의 ‘미래’를 향해 - 김남주1. 에듀테크의 개념과 정의_2832. 에듀테크의 발전 현황_286 교수주의 기반 에듀테크_289 구성주의 기반 에듀테크_2913. 에듀테크의 과제_3104. 마치며_315CHAPTER09 상담교육: 치유와 성장을 지향하는 상담전문가 양성 - 서영석1. 상담은 사회적 현상이다!_3262. 상담은 소통이다!_3283. 상담사는 조력자, 내담자는 주력자이다._3294. 상담사의 지향_332 공감: 내담자의 심리정서적 고통을 경청과 이해로 함께 버텨 주기_332 진솔성: 가면이 아닌 솔직함으로, 과장하지 않은 채 전문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기_335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사람을 수용하기_3375. 상담사의 전문적 역량_338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지식_341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기술_342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태도_344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옹호_345 수행으로서의 상담 역량_3486. 결론: 상담, 생존과 도약을 위한 과제_349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지식기반 확충_349 우리 몸에 맞는 상담 윤리 마련_352 역량 있는 상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자격제도 정비_353CHAPTER10 고등교육: 챗GPT를 활용한 고등교육의 이해 - 이병식1. 고등교육의 기초_360 고등교육의 의미와 경계_361 고등교육의 목적_363 고등교육의 변화_364 고등교육의 가치와 역할_3672. 현대 대학의 이해_369 복잡한 조직_369 전쟁터 같은 교육과정 curriculum_371 멀티플레이어 교수의 특권_374 모호한 테크놀로지_3753. 고등교육학 -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_378 대학총장을 위한 학문 _379 왜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_380 어떤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_381 대학원에서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길러지는가_382 고등교육 지식은 어떻게 활용되는가_384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지식을 나누는가_3884. 결론_389부록 A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독특함_390 보편화: 모든 사람을 위한 고등교육을 지향하며_391 민영화: 높은 사립대학 의존도와 교육비 사부담_392 정부주도(통제)형_393부록 B 어떤 책을 더 읽어볼까 _394CHAPTER11 인적자원개발: 일터에서의 학습과 실천 - 오석영1. 인적자원개발이란 무엇인가 _404 인적자원개발의 정의_404 인적자원개발과 관련영역과의 관계_4102. 인적자원개발의 실천영역_413 개인개발_413 조직개발_421 경력개발_4283. 결론_434CHAPTER12 일의 교육학: 평생학습시대의 일과 배움 - 장원섭1. 평생학습의 시대_442 경제사회적 변화_442 학교교육의 위기_446 평생교육의 전개_4482. 일의 교육학_456 일하는 존재로서 인간_456 교육과 일의 관계_460 일의 교육_4633. ‘오래된 미래’를 향한 일과 배움_471 효율이 아닌 의미의 시대_471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 장인_473 장인성 형성의 평생학습_474CHAPTER13 비교교육학: 교육의 국제화, 새로운 패러다임 - 김성원1. 비교교육,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_485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필요성_485 비교분석의 본질과 의미_486 교육학의 ‘로컬’한 접근방법: 무엇을 왜 비교하는가 _487 국제와 비교의 상호 보완적 관계_4892. 비교교육학의 자리매김_491 비교교육학의 역사적 발전과 변화_491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_493 비교교육학의 대표적 정의와 기본 영역_4953. 비교교육학의 최신 이론과 연구 동향_498 국제교육개발_499 교육환경과 문화 비교연구_501 교육정책의 비교연구_5044. 비교교육학 연구의 쟁점_507 국가 중심적 분석법의 한계_508 비교연구자의 역량과 자질_510 비교적 접근방법_5115. 결론_514 PART03 교육연구의 방법론적 이해CHAPTER14 교육통계·데이터사이언스(Educational Data Science): 양적 연구 방법론의 적용 - 류지훈1. 들어서기_5242. 교육통계_526 1단계: 연구문제의 설정 및 모집단의 정의_527 2단계: 연구방법의 설계_528 3단계: 연구실행_535 4단계: 연구결과의 해석 적용_5373. 데이터사이언스_537 데이터사이언스의 이해와 적용_537 EDS를 활용하여 개발한 개인별 맞춤형 교육플랫폼_5424. EDS의 발전과 전망_547CHAPTER15 교육의 질적연구방법: 연구철학과 유용성 - 박순용1. 질적 연구의 역사: 포스트정초주의와 질적 연구의 확산_5522. 질적 연구의 정의와 특징_557 질적 연구의 정의_557 질적 연구의 특징: 양적 연구와의 비교_559 질적 연구의 한계와 이에 대한 보완 노력_5633. 질적 연구에서의 글쓰기_5664. 질적 탐구를 위한 접근방법(문화기술지 연구,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연구, 사례연구)_568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_570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_571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_571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_572 사례연구(case study research)_573색 인_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