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자신이 가고자 하는 인생 여정을 꿋꿋하게 걸어가는 방법 ‘평상심’
『흔들리지 않고 휘둘리지 않고 담담하게』― 평상심이란?
이 책은 2011년 아사히 문화센터에서 다섯 번에 걸쳐 강의한 ‘불교식 평상심 수업’을 정리한 것이다. 원제는 〈평상심 레슨〉으로, 주된 요지는 불교에서 말하는 인간의 주된 고통을 5가지의 큰 주제로 정리하고, 이를 일상에서 현명하게 해결하는 핵심 요소인 ‘명상’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고자 한다. 저자가 서두에서 밝힌 바는 이 강연의 목적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불교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말하면 고통을 없애기 위한 방법론이다. 석가는 인생이란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네 가지 고통으로 가득 찬 일체개고(一切皆苦)의 길’이라 했다. 삶에서 영원한 것은 없고, 삶은 고통으로 가득하다는 말씀이다. 불교 수행의 목적은 이런 고통의 발생 구조를 꿰뚫어보고, 고통을 줄이는 데 있다.”
저자는 이를 위해 먼저 자기 자신과의 갈등을 다루는 법(제1장―자존심과 사귀는 법), 주변인과의 갈등을 다스리는 법 (제2장―일, 친구, 가족과 잘 지내는 법), 그리고 희로애락과 감정의 기복을 다스리는 법(제3장―불교식 감정 통제법), 삶의 최고의 숙제인 죽음의 문제를 다룬 제4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상에서 이 모든 갈등과 고뇌를 해결하기 위한 지혜와 혜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5장―서두르지 않고, 포기하지 않기). 아울러 각 장 말미에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한 도표를 통해 이해를 배가하고자 했다.
이 책의 장점은 류노스케 스님의 장점인, 다양한 현실적인 실례를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예시를 통해 불교적 원리와 이론을 정서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이다. 각 장의 다채로운 세부 제목을 통해 독자들은 저
자의 구체적인 서술 방식이 안겨주는 평온함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개인이 처한 무수하고도 다양한 실제 상황 속에서 ‘평상심’이라는 공통의 명상 방법을 얻기 위한 구체적이고도 효율적인 방식을 평온하게 체득할 수 있는 훌륭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왜 평상심을 유지하기 어려운가? 자존심과 사귀는 법
‘평상심’ 하면 연상되는 말
‘집착한다’는 것
마음의 틀
저마다 다른 ‘조건반사’ 습관
평가란 ‘있는 그대로’를 거부한다
세상은 ‘상품가치’가 있는 사람을 원한다
정체성과 무아
평상심을 기르기 위한 기본 법칙
제1장 요약
제2장 왜 누군가를 싫어하게 되는가? 일, 친구, 가족과 잘 지내는 법
좋고 싫은 감정은 도대체 왜 생기는 것일까?
‘지배욕’ 때문에 평상심을 유지할 수 없다
회사는 ‘지배’와 ‘피지배’로 이루어지는 세계다
상사인 당신은 왜 부하 직원이 늘 마음에 들지 않는가?
개입해도 변하지 않는 부하 직원 때문에 상처받는다
부하인 당신은 상사의 지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나만 손해 보기 싫다는 생각도 ‘만(慢)’이다
인간은 어느 정도 환경을 선택해야 한다
괴물처럼 ‘만(慢)’이 강한 사람은 훨씬 더 괴롭다
다른 사람의 ‘만(慢)’에 비위를 맞추면, 결국 대가를 치른다
분수에 넘치는 성공을 원하기 때문에 지친다
제2장 요약
제3장 희로애락에 대해 석가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불교식 감정 통제법
희로애락은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유쾌 혹은 불쾌’를 느끼는 시스템만으로 잘 살아가기는 어렵다
‘아무래도 못할 것 같아’라는 생각이 삶을 힘들게 한다
화를 내며 업을 쌓으면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른다
자신의 신경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도파민 시스템은 효과적인가?
현대인은 쾌락을 좇지만, 괴로움만 얻는다
‘좋아한다’고 뇌는 착각하고 있다
사람은 기억의 저주를 받는다
‘락(樂)’은 마음이 편안한 것이다
‘락(樂)’은 얽매이지 않는 것이다
과정 즐기기가 해결책이다
살뜰하게 챙겨주는 남성을 좋아하는 여성은 왜 불행해지는가?
놀라움은 마음에 독이다
받아들이는 수준을 높인다
걷기 명상에선 발의 감각에 의식을 집중한다
좌선에서 ‘호흡’에 의식을 집중하는 이유
마음을 단련해 ‘락(樂)’을 얻을 수 있다
무언가를 추구하지 말고, 평정을 유지한다
‘락(樂)’을 능숙하게 다루어 ‘희(喜)’와 ‘노(怒)’를 조절한다
‘락(樂)’에도 함정은 있다
명상 수행에도 함정이 있다
‘희열감’으로 극약 처방을 할 수 있다
희로애락에 대한 불교식의 결론
제3장 요약
제4장 생로병사를 평상심으로 대한다. 죽음을 받아들이는 법
석가의 최초 설법
원하지만 얻을 수 없는 고통, 구부득고(求不得苦)
망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평상심을 유지해야 한다
자신의 약함도 받아들인다
인생은 고통으로 가득 차 있다
죽을 때 유일하게 가지고 가는 게 ‘업(業)’이다
‘윤회전생=환생’도 고통이다
‘입멸’은 윤회로부터의 해방이다
모두 저마다의 업이 있다
불교는 죽음에 대해 철저한 평정을 유지한다
슬픔을 받아들이기 위한 세 가지 태도
석가는 모든 일에 대해 감정적으로 느끼지 않았다
과학적 인식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다
죽음에 대한 마음의 준비는 젊을 때부터 한다
싫어할수록 더 빨리 늙는다
병을 받아들이는 연습을 한다
환자를 간호하며 인생을 배운다
‘뭐, 이대로도 괜찮아’라고 생각해 본다
제4장 요약
제5장 날마다 평상심을 지키는 연습을 한다. 서두르지 않고, 포기하지 않기
‘반드시 이렇게 해야만 한다’에서 해방된다
명상하는 시간을 만든다
명상할 때 마음의 쓰레기에 당황하지 않는다
깨달음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칠각지’
식사를 통해 평상심 지키기 연습을 한다
씹기를 통해 명상 효과를 거둔다
스트레칭을 통해 신체의 고통을 발견한다
나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적어 본다’
완벽한 사진을 바라지 않는다
제5장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