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왜 학교는 불행한가 :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 저자
- 전성은 저
- 출판사
- 메디치미디어
- 출판일
- 2015-07-08
- 등록일
- 2024-12-03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3MB
- 공급사
- 예스이십사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학교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학교 중 대표적인 ‘행복학교’로 꼽히는 거창고등학교. 이 글은 그곳에서 40여 년간 교편생활을 하다 정년퇴직한 전(前) 교장 전성은 선생의 ‘학교교육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글이다. ‘참여정부’ 당시 교육혁신위원장을 맡아 교육혁신을 하고자 했으나 여러 가지 벽에 부딪혀 끝내 이루지 못한 대한민국 교육혁신의 방향을 담았다.
또한, 그는 학교의 기원과 역사, 진정한 학교의 의미와 학교의 본분, 교사와 학생이 가야할 길 등에 대해 교육계에 몸담고 있는 동안, 현장을 떠난 지금도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으며 지금껏 함께 한 여러 동료들과 선배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책에 수록했다. 그리고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평화에 관해서도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절절히 주장하고 있다.
그는 말한다. 학교교육의 목적은 SKY대학이나 대기업이 아니고 평화이며 그 평화를 지키기 위해 국가와 학교가 봉사해야 한다고. 또한, 국가의 필요에 의해 뽑는 ‘인재양성교육’에 반대하며 반역사적이고 반도덕적이며 반종교적이지 않은 ‘인격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소개
서울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부터 거창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이후 2006년까지 41년간 거창고를 비롯해 같은 재단인 샛별초등학교, 샛별중학교의 교장을 역임했다.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 직속기관인 교육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저서로는 ‘교육’ 3부작 중 첫 번째 책인 《왜 학교는 불행한가》가 있으며 현재 거창 가지리에 있는 거창고 농장에서 ‘교육’ 3부작의 마지막 편인 ‘교육정책론’을 집필 중이다. 전작에서 그는 제국주의적 힘의 논리로 운영되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교육의 목표는 인재양성이 아닌, ‘평화’라고 주장했다. ‘교육’ 3부작의 두번째 책인 이 책에서 저자는 그렇다면 교육의 목표가 왜 ‘평화’인지 교육의 근본을 살핀다. 교육은 지식 전달이나 자아실현이 아니라 시대정신인 사랑과 정의를 직접 살아내는 것임을 강조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생각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
[제1부 학교란 무엇인가]
1장 학교는 어떻게 태어나고 자라왔는가
고위 관료 양성 교육이 국가의 목적
철저히 국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
국가는 한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2장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과 학교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
교육의 기능이 어떻게 목적이 되었나
학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나
- 경쟁심만 키우는 학교 문화가 문제
- 이공계 중시하며 인문계 천대한 독재 권력
3장 학교교육 이념에 대한 두 가지 신화
인재 양성론의 허구
허상뿐인 도덕교육론
- 관공립 학교 세우며 교훈도 일괄적으로 제정
- 국가주의 도덕이 히틀러유겐트와 가미가제 특공대 낳아
학교교육에서 인격이 길러질 수 있을까
- 학교교육만으로 인격을 변화시키긴 힘들어
[제2부 학교교육의 목적]
1장 평화는 교육의 목표
학교교육과 교육은 분명 다르다
증오는 이데올로기 교육이자 세뇌 교육
2장 학교교육에서의 평화는 무엇인가
평화는 평등, 자유, 공존의 세상
- 언제나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존엄성
공존하는 삶의 의미
- 이데올로기나 종교 갈등 많아
주체적인 삶이란
- 문화는 다를 뿐 우열로 나누면 안 돼
다양하게 산다는 것
- 대학은 아이들의 재능과 소질을 최대화시켜주는 곳
- 온 국민의 과거시험 준비는 그만둬야
[제3부 평화를 위한 학교교육 제도]
1장 교육 행정은 ‘평등과 자율’
국가 차원에서의 제도 문제 중요
- 제도의 개선으로 해야 하는 이유
2장 학교교육의 운영 원칙
학교는 통제보다 자율권 보장이 중요
- 자율은 권리가 아닌 의무 체계
- 학생들 스스로 만드는 예술제, 이것이 자율권
[제4부 교사의 길 학생의 길]
1장 교육에서 사랑이란 무엇인가
교사와 학생의 만남은 인연이다
- 교사는 학생의 ‘참된 이익’에 봉사해야
교사와 학생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선결과제
- 사상, 신앙을 주입하지 않아야 한다
- 좋은 것이 독이 될 수도 있다?
- 편애하면 안 된다
- 끊임없이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 교사로서 받는 월급으로 만족해야 한다
글을 마치며:
‘옳은 교육’을 위해서는 국가의 통제 벗어나야